목록전체 글 (78)
유자차의 재테크 공부방
한국에는 수급을 외국인/기관/개인으로 나누어짐. 미국은 대부분 기관으로 수급 데이터를 보지 않음 손절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인은 대하락장 다 들어감. 하지만 대세 상승장에 대부분 들어가 있음. 외국인 매도 포인트를 잘 찾음. 대세 상승장의 진입은 늦음.[관련영상] 외국인 수급을 보며 따르다가, 대하락장 후 개인이 매수세가 매도세로 바뀔 때(투매구간), 들어가면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 수급을 참고하면 대하락장을 피할 수 있음 매수 타이밍이 늦기 때문에 큰 수익을 만들 수는 없음(상승장에 늦게 들어가기 때문에 수익이 크지 않음) 외국인 매도 구간에서는 수익이 거의 없음. 2006년 이후 외국인 매도 구간 최고 수익은 7.4%밖에 안됨 => 외국인 매도는 따라하지만, 상승장 진입은 조금 더 빨리 진입하면 좋을 듯
이중 정렬이라고 표현을 했는데 2가지 항목으로 정렬을 하는 방법과 2가지 항목을 다른 정렬 방법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데이터 요소 기준으로 정렬 => 요소1 기준으로 오름차순 후 동일한 것이 있다면 요소2 기준으로 오름차순 sorted(정렬할 리스트, key=lambda x : (정렬할 요소1, 정렬할 요소2)) data = [(1,"d"), (2,"c"), (3,"b"), (1,"a"), (3,"d"), (1,"f")] res = sorted(data, key=lambda x : (data[0], data[1])) # 출력결과 : [(1,"a"), (1,"d"), (1,"f"), (2,"c"), (3,"b"), (3,"d")] 정렬이 서로 다르게 정렬이 해야할 때 => 요소 1 기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