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78)
유자차의 재테크 공부방
STEPN이라는 NFT가 있습니다. M2E(Move to Earn)로써 움직이는만큼 벌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캐쉬워크처럼 걸으면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차이점은 언제나 걷는다고 벌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신발을 가지고 있어야하고, 에너지라는 것이 있을때, 적정 속도로 걷거나 뛰면 채굴됩니다. 다만 변동성이 있는 GST로 주기 때문에 폭락하면.....신발을 100만원 넘게 주고 샀는데...답이 없죠.... 본전을 찾는데 보통 45일 정도 소요한다고 합니다. 5월까진 잘 살아있으면 좋겠네요 현재 2022.04.15기준 1 GST는 약 6000원입니다. 하루에 10분으로 적어도 3만원을 벌 수 있다니 너무 좋지 않나요!! 신발 가격 3월 말에 구매했을때 기준으론 9~10 SOL(약 140만원)정도 였습니..
정렬을 할때, 여러가지 기준으로 정렬을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lambda를 사용하면, 한 번에 여러가지 기준으로 정렬을 할 수있습니다. sort(key= lambda x: ([첫번째 기준], [두번째 기준])) # 문자 순 정렬, 문자 동일한 경우 앞의 번호 순으로 정렬 s = ["2 A", "1 B", "4 C", "1 A"] s.sort(key= lambda x: (x.split()[1], x.split()[0])) # ['1 A', '2 A', '1 B', '4 C'] # 숫자 순 정렬, 숫자 동일한 경우 앞의 문자 순으로 정렬 s = ["2 A", "1 B", "4 C", "1 A"] s.sort(key= lambda x: (x.split()[0], x.split()[1])) #['1 A', '..
문자열을 뒤집는 여러가지 방법들 첫번째 방법은 포인터를 활용하는 것과 같이 양끝의 문자열을 바꾸어주며 뒤집음 def reverseString(s): left, right = 0, len(s)-1 while left < right: s[left], s[right] = s[right], s[left] left+=1 right-=1 return s 두번째 방법은 리스트의 reverse() 기능을 사용하여, 뒤집어 줍니다. def reverseString(s): s.reverse() return s 세번째 방법은 슬라이싱을 사용하여 뒤집어 줍니다. def reverseString(s): s = s[::-1] # s[:] = s[::-1]로도 가능 return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