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78)
유자차의 재테크 공부방

tqdm의 tqdm.pandas를 사용하면 progress_apply통해 dataframe에 apply가 얼마나 진행되었는지 볼 수 있다. df가 좌측과 같다고 할 때 일반적으로 apply를 사용할 때, df = df.apply(func, axis=1) print(df) progress_apply를 통해 진행률을 볼 때 from tqdm import tqdm tqdm.pandas() df = df.progress_apply(func, axis=1) # df.progress_apply(적용할 것, 적용방향) print(df)
시장 바닥 잡는 3가지 방법 1. VIX가 40이 된 후 한달 뒤에 들어가기 [관련영상 615] 2. 개인투자자들이 투매를 할 때 [관련영상 714] 3. PBR이 1이하일 때, 매수하면 1~2년 뒤에 수익[관련영상 674] PBR이 시장 바닥 지표로 보기에 조금 아쉬운 부분이 있다. 그래서 VIX와 개인투매를 보고 판단하면 좋을 것 같다.
한국에는 수급을 외국인/기관/개인으로 나누어짐. 미국은 대부분 기관으로 수급 데이터를 보지 않음 손절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개인은 대하락장 다 들어감. 하지만 대세 상승장에 대부분 들어가 있음. 외국인 매도 포인트를 잘 찾음. 대세 상승장의 진입은 늦음.[관련영상] 외국인 수급을 보며 따르다가, 대하락장 후 개인이 매수세가 매도세로 바뀔 때(투매구간), 들어가면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 수급을 참고하면 대하락장을 피할 수 있음 매수 타이밍이 늦기 때문에 큰 수익을 만들 수는 없음(상승장에 늦게 들어가기 때문에 수익이 크지 않음) 외국인 매도 구간에서는 수익이 거의 없음. 2006년 이후 외국인 매도 구간 최고 수익은 7.4%밖에 안됨 => 외국인 매도는 따라하지만, 상승장 진입은 조금 더 빨리 진입하면 좋을 듯
이중 정렬이라고 표현을 했는데 2가지 항목으로 정렬을 하는 방법과 2가지 항목을 다른 정렬 방법으로 정렬하는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데이터 요소 기준으로 정렬 => 요소1 기준으로 오름차순 후 동일한 것이 있다면 요소2 기준으로 오름차순 sorted(정렬할 리스트, key=lambda x : (정렬할 요소1, 정렬할 요소2)) data = [(1,"d"), (2,"c"), (3,"b"), (1,"a"), (3,"d"), (1,"f")] res = sorted(data, key=lambda x : (data[0], data[1])) # 출력결과 : [(1,"a"), (1,"d"), (1,"f"), (2,"c"), (3,"b"), (3,"d")] 정렬이 서로 다르게 정렬이 해야할 때 => 요소 1 기준으..
이전글 https://wisecode.tistory.com/37 [NFT] STEPN 스테픈 수익 현황 스테픈을 시작한지 3주가 되어갑니다. 지금까지 얼마나 벌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구매 신발 : 커먼 조거 Lv.5 신발 가격 : 9.7 SOL 지금까지 채굴한 GST : 207.95 GST 목표레벨(13)까지 소요 GST : 119.45 G wisecode.tistory.com 오늘 현금화를 진행했습니다. 스테픈이 관심이 많아지면서 가격이 떨어질 줄 알았는데 가격이 오르네요. GST의 고점이 어디인지 궁금하네요ㅎㅎㅎ 스테픈으로 강제로 뛰다보니 이제 10분정도는 뛸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역시 돈을 들어가야 운동을 열심히 하나봅니다. 이렇게 좋아지는 체력을 보니 러너를 하나 구매할까라는 생각이 드는데....
숫자를 올림하기 위해서 math라이브러리를 사용하였습니다. 프로그래머스에서 코테 연습하던 중 다른 사람의 풀이를 보고 math를 사용하지 않고 올림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발견하였습니다. 음수를 사용하는 것이였습니다. 라이브러리를 부르지 않고 이렇게 사용할 수 있다니 좋은 아이디어인 것 같습니다. # 일이 10이고 하루에 3만큼 일한다고 했을 때, 며칠 뒤에 일을 끝나는가? total = 10 speed = 3 ####################### 기존 ###################### import math math.ceil(total/speed) # 4 ####################### 음수 사용 ###################### -(-total//speed) # 4
스테픈을 시작한지 3주가 되어갑니다. 지금까지 얼마나 벌었는지 정리해보겠습니다. 구매 신발 : 커먼 조거 Lv.5 신발 가격 : 9.7 SOL 지금까지 채굴한 GST : 207.95 GST 목표레벨(13)까지 소요 GST : 119.45 GST 하루에 13정도 채굴되며 수리비용으로는 1.92가 사용됩니다. 구매한 신발 멘징하려면 2주정도 걸리겠습니다.
STEPN이라는 NFT가 있습니다. M2E(Move to Earn)로써 움직이는만큼 벌 수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캐쉬워크처럼 걸으면 돈을 벌 수 있습니다. 차이점은 언제나 걷는다고 벌 수 있는 것이 아니고 신발을 가지고 있어야하고, 에너지라는 것이 있을때, 적정 속도로 걷거나 뛰면 채굴됩니다. 다만 변동성이 있는 GST로 주기 때문에 폭락하면.....신발을 100만원 넘게 주고 샀는데...답이 없죠.... 본전을 찾는데 보통 45일 정도 소요한다고 합니다. 5월까진 잘 살아있으면 좋겠네요 현재 2022.04.15기준 1 GST는 약 6000원입니다. 하루에 10분으로 적어도 3만원을 벌 수 있다니 너무 좋지 않나요!! 신발 가격 3월 말에 구매했을때 기준으론 9~10 SOL(약 140만원)정도 였습니..
정렬을 할때, 여러가지 기준으로 정렬을 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lambda를 사용하면, 한 번에 여러가지 기준으로 정렬을 할 수있습니다. sort(key= lambda x: ([첫번째 기준], [두번째 기준])) # 문자 순 정렬, 문자 동일한 경우 앞의 번호 순으로 정렬 s = ["2 A", "1 B", "4 C", "1 A"] s.sort(key= lambda x: (x.split()[1], x.split()[0])) # ['1 A', '2 A', '1 B', '4 C'] # 숫자 순 정렬, 숫자 동일한 경우 앞의 문자 순으로 정렬 s = ["2 A", "1 B", "4 C", "1 A"] s.sort(key= lambda x: (x.split()[0], x.split()[1])) #['1 A', '..